Boostcamp

· Boostcamp
KeepDRY (Do not Repeat Yourself) & YAGNI (You Ain't Gonna Need it)이번주 미션들은 이틀의 기간이 주어졌다. 정확히 말하면 첫날에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둘째날에 개선하는 일정이었다. 릴레이 프로젝트 미션으로 받은 "전체를 고려하지 말고 하나의 메소드만 집중하여 만들어보기"를 첫날 구현 과정에 적용하였다. 확실히 메소드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모두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메소드만 동작하도록 만들어보니 시작이 쉬웠던 것 같다. 둘째날에 코드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중복 함수를 분리하고 너무 길어지는 메소드는 하나의 기능조각으로 구분하여 파일을 분리하였다. 확실히 가독성이 올라가고 이후 유지보수를 할 때 유리하겠다는 느낌을 받았다. 사실 DRY와 YAGNI 는 금요일..
· Boostcamp
keep피어세션 토론식 진행1주차에는 그룹원 각자가 했던 설계와 구현코드를 간단하게 발표하고 피드백하는 방식으로 피어세션을 진행했다. 이번주 미션은 구현해야할 내용이 많고 1시간이라는 시간 내에 모든 그룹원들이 발표하기엔 시간이 부족할 것 같아서 토론식 피어세션을 그룹원들에게 제안했다. 제안한 방식은 각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의문이 생기거나 어려웠던 부분을 주제로 던지고 그 주제에 대한 의견을 서로 주고받는 방식이었다. 감사하게도 그룹원들이 제안을 받아주었다.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이나 다른 사람들의 해석이 궁금한 부분을 기록해두고 다음날 피어세션에서 주제를 던졌다. 비슷하게 해석한 분들도 있었지만 전혀 다른 방향으로 해석하여 해결하신 분들도 계셔서 문제 해석 및 설계에 대한 ..
· Boostcamp
keep선 학습 후 설계요구사항을 먼저 분석하고 학습이 필요하다고 느끼면 설계를 하기 전 학습을 먼저 진행했던 부분이 좋았다.설계와 구현을 오고가기설계를 모두 마치고 구현으로 넘어가는 느낌보다는 설계를 어느정도 해두고 구현을 했다. 구현 중 설계 수정이 필요하다면 수정 후 다시 구현으로 넘어오는 티키타카가 학습에도 도움이 되었다.문서화체크포인트 작성 -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구조의 문서화 틀이 어느정도 잡힌 것 같다협업 툴협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협업 툴을 알게 되었다problem아쉬운 몰입 속도많은 양의 미션을 마주하고 주춤하여 바로 몰입하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수면 시간"과 "학습"의 밸런스몰입하는 시간이 늦어지다보니 수면 시간이 그만큼 줄었고 다음날 미션 수행에도 지장이 생겼다"학습"과 "..
뚱졍뚱졍
'Boostcamp' 카테고리의 글 목록